Swift

스위프트 프로그래밍 규칙

GREEN.1229 2020. 10. 29. 18:04

안녕하세요. 그린입니다!

이번에는 스위프트 프로그래밍을 하며 알아야할 필수적인 몇가지 규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가장 기본이되는 중요한 내용으로 간단하더라도 꼭 숙지해야하는 부분입니다.

여러분들도 제 글을 보며 잊고있었거나 놓친게 없는지 다시 한번 복습해보는 좋은 시간이 되시길 바랍니다 ^^

 

우선 이번 포스팅에서는 크게 기본 명명 규칙 / 콘솔로그 / 주석 / 변수와 상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 

1. 기본 명명 규칙

모든 프로그래밍 언어가 그렇듯 스위프트 언어 자체에 명시된 명명 규칙은 없습니다. 환경과 협업 그룹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그러나 클린 코딩을 위해 스위프트의 API 디자인 가이드라인 및 애플의 코코아를 위한 코딩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시면 좋습니다.

다음은, 가이드라인 중에서 꼭 알아야 할 기본 명명 규칙입니다.

 

1) 변수,상수,함수,메서드,타입에서 아래와 같은 경우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.

 -. 스위프트에서 미리 정한 예약어 / 키워드

 -. 해당 코드 범위 내에서 미리 사용되는 기존 이름과 동일한 이름

 -. 연산자로 사용될 수 있는 기호(+,-,*,/)

 -. 숫자로 시작하는 이름

 -. 공백이 포함된 이름

 

2) 함수,메서드,인스턴스 = 소문자 카멜케이스

 * 카멜케이스란, greenIsBest와 같이 낙타 등처럼 생겼다하여 붙여짐

낙타등 모양을 표방한 카멜케이스

3) 클래스,구조체,익스텐션,프로토콜,열거형 = 대문자 카멜케이스

4) 대소문자 구별

5) 예약어 = 강세표(backquote, `)를 사용 -> 미리 사용하기로 약속한 단어로 스위프트의 키워드는 대부분 예약어

6) 세미콜론은 선택사항으로 스위프트를 좀 더 적응하시려면 붙이지 않는것을 권합니다.

 

2. 콘솔 로그

로그 : 애플리케이션의 상태 또는 내부 로직의 흐름을 볼 수 있도록 출력한 정보

콘솔 로그 : 디버깅 중 디버깅 콘솔에 보여줄 로그

스위프트에서는 print() 또는 dump() 함수를 사용하여 콘솔 로그를 출력

 

1)print()

디버깅 콘솔에 간략한 정보를 출력

print() 함수

2)dump()

print() 함수보다 좀 더 자세한 정보 출력, 인스턴스의 자세한 내부 콘텐츠까지 출력

dump()

3. 문자열 보간법

변수 또는 상수 등의 값을 문자열 내에 나타내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.

사용법 : \(변수 혹은 상수) -> 문자열로 치환해서 넣어줌

문자열 보간법

4. 주석

-. 한줄주석 : //

-. 여러줄 주석 : /* 내용 */

-. 중첩주석을 지원

-. 마크업 문법을 활용한 문서화 주석

   : ///, /** 내용 **/

 

5. 변수

var키워드를 통해 생성

var [변수명]: [데이터 타입] = [값]

 

var

6. 상수

let 키워드를 통해 생성하며 변하지 않는 값으로 사용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가독성입니다.

불변하지 않는 값을 코드내 상수로 선언하는것이 좋습니다.

let [상수명]: [데이터 타입] = [값]

let

 

본 포스팅에서는 스위프트 프로그래밍을 위한 필수적인 몇가지 규칙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.

다음 시간에는 데이터 타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감사합니다 :D